지구 온난화로 북극이 녹으면서 북극해가 열렸다. 이제 부산에서 유럽으로 수출하려면 아시아를 빙돌아갈 필요없이 북극해를 가로질러 스칸디나비야반도를 통해 유럽 수출이 가능하다. 부유한 북유럽 시장은 한국에게는 아주 매력적인 수출 판로이자 수요처이다.
중국도 그 수요를 알아차리고 동해로 진출하려 하고 있다. 북한의 나진항 개방이나 여러 합작 산업이 그 예들이다. 또한 러시아도 북극해의 판로를 선점하려 북한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국제 자금의 유입을 북한은 적극 활용하고 있는 모양새다. 한국도 북극해 판로를 선점을 위해서도 북한을 적극 활용해야한다.
한국 정부는 사대강 사업 등 여러 경기 부양책이 실폐호 돌아가자 북한으로 다시 눈을 돌렸다. 북한과 우호적인 중국과 러시아의 사업 자금 유입도 북한의 개방을 가속화 시킬 것이고 이에 대해 북한도 예전처럼 쇄국정책으로 일괄하기엔 리더쉽 기반도 약해졌고 국제적 압박도 강해졌다. 이런 국제정세와 이해관계 때문에라도 한반도의 통일은 10년안에 될듯하다.
그러면 통일시 북한의 땅과 노동력을 무엇을 위해 투자하면 좋을까? 공장과 산업개발로 쓸 것인가? 아니다. 이는 남한의 산업시설과 개성공단 등 합작공단으로도 충분하다. 그런 과포화의 산업투자보다 북한의 깨끗한 땅은 지금도 농사를 짓고 있듯 북한 주민들의 삶처럼 농업을 위해 썼으면 한다. 아시다시피 남한의 땅은 화학비료와 농약에 오염되어 실제는 유기농이 없다.
그래서 부유한 북유럽인들은 중국이나 일본에서 유기농 농산물을 재배했다고 해도 그것을 유기농 농산물로 취급하지않는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북한 백두산에서 재배한 블루베리류는 유기농이라 믿는다. 이는 아직 오염되지도 개발되지도 않은 북한의 상황을 알기때문이다. 이처럼 통일시에는 북한 땅을 산업용으로 황폐화시키기보다 정책적으로 보존하고 활용할 필요가 있다.
세계적으로 농업은 6차산업으로 불리며 재창조되는 분위기지만 한국은 아직도 농업을 천시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먹거리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기에 이를 FTA 판로를 통해 수요를 충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지금 농업에 종사하시는 할머니 세대가 가고 나면 다음엔 누가 농사를 지을까? 귀농인력이 늘어나고는 있지만 수요에 비해 공급은 턱없이 부족하고 일년을 지어야 수확되는 농업 특성을 고려한 장기작인 유휴 농지와 먹거리 수요에 대한 정부대책은 전무후무하다.
이제는 국제정세, 통일시대, 현재 수요, 곧 닥칠 문제점들을 고려해 장기적인 통일 정책을 계획하고 준비할 필요가 있다. 누구하나 두려움에 통일을 준비하지 않는다면 일어날 통일은 악몽이 될 것이다. 안일히 미래를 대처한 국가는 쇄락의 길을 걸었기에 통일시의 여러 문제점-산업 조성, 이질적 문화 등을 좀더 현실적으로 충분히 고민해 봐야 한다.
'주변사상과의조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렌트 무죄 판결] 창원지방법원 마산지원(2015고정11 저작권법위반), (0) | 2016.03.31 |
---|---|
사람은 완벽할수 있을까? (0) | 2016.03.17 |
문제를 건너가다 (0) | 2015.02.15 |
욕구로의 갈망- 나는 무엇을 원하고 있는가? (0) | 2014.11.09 |
근로자의 날은 휴무! 쉬는 날 맞습니다. (0) | 2012.05.01 |